본문 바로가기
영어 정보

[헷갈리는 영어 표현] "~가 있다" There is vs. We have vs. We've got 차이점과 상황 설명

by 글쓰기 파트너 2024. 12. 17.
반응형

"There is," "We have," "We've got"의 차이점과 사용법

영어로 "있다"를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 가지 표현이 "There is," "We have," "We've got"입니다. 하지만 이 표현들은 상황과 의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쓰입니다. 실생활에 어떤 표현을 써야 하는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위 세 표현을 어떻게 다르게 가져가는지 뉘앙스를 알기 위해, 네이티브 스피커들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There is / There are: 어떤 것이 '존재'한다는 뜻

"There is"와 "There are"는 특정 장소나 상황에 어떤 것이 존재하거나 있다는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어떤 것이 있다"는 그 자체입니다.

  • 단수 명사 앞에는 "There is"를 사용하고, 복수 명사 앞에는 "There are"를 사용합니다.

예문

  1.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테이블 위에 책이 있어.) → 책이 어디에 있는지 존재를 설명.
  2. "There are many people at the park today."
    (오늘 공원에 사람이 많아.) → 공원에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전달.

언제 사용하나요?

  • 장소에 무엇이 있는지 설명하거나, 어떤 사실을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 공식적이거나 객관적인 문장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2. We have: '소유'를 나타내는 표현

"We have"는 주어인 "We(우리)"가 무엇을 가지고 있다거나, 어떤 상황이나 자원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우리의 소유"입니다.

예문

  1. "We have a meeting at 3 PM."
    (우리는 오후 3시에 회의가 있어.) → 회의라는 일정이 우리에게 있다.
  2. "We have two dogs and a cat at home."
    (우리 집에는 강아지 두 마리와 고양이 한 마리가 있어.) → 반려동물이 우리 집에 속해 있다는 의미.

언제 사용하나요?

  • 어떤 것의 소유관계를 설명할 때.
  • 우리에게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있음을 말할 때도 사용합니다.

 

 

반응형

3. We've got: '소유'를 나타내지만 더 구어적인 표현

"We've got"는 "We have"와 같은 의미이지만, 더 비격식적이고 대화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영국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미국 영어에서도 일상적으로 쓰입니다.

예문

  1. "We've got a problem to solve."
    (우리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어.) → 가볍게, 더 대화체로 표현.
  2. "We've got plenty of time to finish this."
    (이걸 끝내기에 충분한 시간이 있어.) → 구어적으로 여유 있는 상황을 설명.

언제 사용하나요?

  • 친구, 가족 등 친근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 "We have"보다 조금 더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네이티브 스피커의 사용법

  • "There is""There are": 장소에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설명할 때.
    → "There's a café around the corner." (모퉁이에 카페가 있어.)
  • "We have": 우리가 무엇을 가지고 있거나 특정 상황에 있을 때.
    → "We have dinner plans tonight." (우리 오늘 저녁 약속이 있어.)
  • "We've got": 같은 의미지만 더 편안하고 대화체인 표현.
    → "We've got dinner plans tonight." (우리 오늘 저녁 약속 있어.)

 

 

 

간단 정리

  1. There is/There are → 존재 자체를 설명. 장소에 어떤 것이 있다는 의미.
  2. We have소유나 관계를 설명. 비교적 공식적이거나 중립적인 표현.
  3. We've got → "We have"와 같지만 더 자연스럽고 구어체에서 많이 쓰임.

이제 상황과 뉘앙스에 맞게 골라서 사용해 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