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정보

[일상 영어] "대충하다" "대충해" 영어로 자연스럽게 말하기

by 루이 파이프 2024. 11. 13.
반응형

💌 유학생 출신 10년차 외국계 기업 직장인이 연인에게 가르쳐 주는 영어💌

 

대충하다: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충하다"라는 의미의 영어 표현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가끔씩 일을 서둘러 처리하거나, 신경을 덜 쓰고 할 때가 있죠.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들이 꽤 많이 있어요. 다양한 표현을 배워두면 상황에 맞게 표현할 수 있어 영어 실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목차

    1. Cut Corners

    가장 대표적인 표현 중 하나로, 시간을 절약하거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대충하다는 의미로 사용돼요. 일을 간단히 처리하다가 결과적으로 품질이 떨어질 때 자주 씁니다.

    • "They cut corners to finish the project on time, but the quality was poor."
      (그들은 프로젝트를 제시간에 끝내기 위해 대충했지만, 품질이 나빴다.)

    이 표현은 특히 회사에서 품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대충 처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유래

    Cut corners라는 표현은 원래 도로나 경주 트랙에서 코너를 돌 때 더 빠르게 가기 위해 코너를 바짝 돌거나, 심지어 직선으로 가면서 코너를 생략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시간이 단축되지만, 실제로는 규칙을 어기거나 위험을 감수하게 되죠.

     

    이 의미가 확장되어 일이나 작업에서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품질을 희생하면서 급하게 처리하거나 절차를 무시하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어요. 예를 들어, 비용을 아끼기 위해 품질을 낮추거나, 절차를 무시하고 빨리 끝내려고 할 때 "cut corners"라고 표현합니다.

    즉, 이 표현은 시간이나 자원을 아끼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생략하거나 대충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2. Do a Rush Job

    급하게 하다 또는 대충 마무리하다라는 의미로, 주로 마감 시간에 맞추기 위해 서두를 때 쓰입니다. 결과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질 때가 많습니다.

    • "He did a rush job on the presentation, so it wasn’t very thorough."
      (그는 발표를 대충 준비해서 내용이 철저하지 않았다.)

     

    유래

    rush는 서두른다는 의미로, 마감 기한이나 특정 시간에 맞추기 위해 충분히 시간을 들이지 않고 시간에 쫓겨 급하게 일을 처리하는 상황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특히 빠르게 일을 처리하다 보니 작업의 완성도가 떨어지거나 품질이 낮아질 때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 안에 준비가 다 되지 않은 발표 자료를 만들거나, 건축물의 공사를 빨리 마치기 위해 세부 사항을 대충 마무리하는 경우에 "do a rush job"이라고 합니다. 이 표현은 현대 사회에서 급박한 마감과 압박감 아래 완성도를 희생하며 서둘러 일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3. Half-Ass (Something) (비격식, 속어)

    비격식 표현인 "half-ass"는 건성으로 하다는 뜻으로, 일을 열심히 하지 않고 대충 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다만, 속어에 가까워서 주로 친구들 간에 쓰는 편이 좋아요.

    • "Don’t half-ass your work; put in some effort!"
      (일을 대충하지 말고, 좀 더 신경 써!)

    이 표현은 격식이 필요한 자리에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래

    신체적 이미지를 빌려온 것으로, "half"(절반)과 "ass"(엉덩이, 속어로는 성의)를 결합하여 “온전한 노력을 들이지 않고 절반만 한다”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본래 어떤 일에 충분한 열정이나 헌신을 기울이지 않은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죠.


     

     

     

     

     

    4. Do the Bare Minimum

    "Do the bare minimum"은 말 그대로 최소한만 하다는 뜻으로, 최소한의 노력만 기울일 때 사용됩니다.

    • "He did the bare minimum to pass the class."
      (그는 수업을 통과하기 위해 최소한만 했다.)

    이 표현은 주로 노력이나 의지가 부족한 경우에 부정적으로 사용됩니다. 개인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유래

    "bare"는 "가장 기본적인, 필수적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minimum"은 최소한의 수준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의무를 최소한으로 충족하거나 마지못해 기본적인 것만 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본래, 필수적인 기준만을 만족하는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생겨난 표현으로, 특히 일을 미루거나 의욕이 부족한 사람이 하는 행동을 가리킬 때 자주 쓰입니다.

     


    5. Phoning It In

    "Phoning it in"은 대충 하다, 열정 없이 하다는 의미로, 주로 성의 없이 건성으로 일을 할 때 쓰입니다.

    • "She’s just phoning it in these days, not really trying."
      (그녀는 요즘 일을 대충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는다.)

    직장에서 일이나 업무를 건성으로 하는 것을 지적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유래

    "Phone it in"이라는 표현은 원래 배우나 연기자가 실제로 공연장에 나타나지 않고 전화를 통해 대사를 전달하는 모습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여기서 "전화로 전달한다"는 의미가 직접 참여하지 않고 최소한의 노력으로 일이나 임무를 수행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게 되었죠.

    이 표현은 이제 일을 성의 없이 대충하거나, 마음이 담기지 않은 상태로 건성으로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본래의 의미처럼, 일에 대한 열정이나 헌신 없이 단순히 해야 할 의무를 형식적으로 마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유래가 재미있죠?


    6. Slap Together

    대충 조립하다, 급하게 만들다는 뜻으로, 주로 물건을 급하게 만들거나 준비할 때 쓰기 좋습니다.

    • "He slapped together a quick meal for dinner."
      (그는 저녁으로 대충 급히 요리를 만들었다.)

    이 표현은 요리나 물건을 간단히 준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

    "slap"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slap"은 세게 때리다 또는 툭 놓다라는 의미가 있어요. 이 표현에서 "slap"은 힘들이지 않고 대충 물건을 놓거나 결합하는 동작을 연상시키며, 세심하게 준비하지 않고 서둘러 무언가를 만들거나 조립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slap together"는 물건을 제대로 다듬거나 세밀하게 신경 쓰지 않고, 성급하게 조립하거나 만든다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7. Wing It

    "Wing it"은 즉흥적으로 하다, 대충하다는 뜻으로, 준비 없이 급하게 하거나 계획 없이 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I didn’t prepare for the speech, so I just had to wing it."
      (나는 연설 준비를 하지 않아서 그냥 대충 했다.)

    이 표현은 특별한 준비 없이 진행해야 할 때 쓸 수 있어서 상황에 따라 아주 유용해요.

     

    유래

    "Wing it"이라는 표현은 연극이나 공연에서 유래했습니다. 배우들이 충분한 리허설이나 연습 없이 무대에 오를 때, 무대 옆(wing)에서 대사를 빨리 외우거나 지시를 받고 즉흥적으로 연기를 이어간다는 의미에서 시작된 표현입니다. 즉, 원래 "wing"은 무대의 양쪽에 위치한 무대 옆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곳에서 배우들이 대사나 동작을 준비하거나 도와주는 이의 도움을 받으며 바로 무대에 올라가야 했던 경우에서 온 것입니다.

    이 표현이 점차 준비 없이 즉흥적으로 행동하다라는 뜻으로 확장되어, 오늘날에는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임기응변으로 해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순간의 재치로 상황을 넘기다는 의미로 활용되는 표현이 되었어요.


    마무리

    이처럼, "대충하다"라는 뜻을 가진 다양한 영어 표현들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면 일상 대화에서 표현의 폭이 넓어질 거예요. 이번 포스팅이 유용한 표현들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음에 대충 무언가를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영어 표현도 함께 떠올려 보세요! 😊

     

     

    다른 영어 표현도 배워보아요!

     

    반응형